출 규제에 나선 건집값상승세를
페이지 정보

본문
[앵커] 정부가 초강도 대출 규제에 나선 건집값상승세를 잡기 위해선데요.
최근 뜨겁던 강남권 아파트의 매수심리도 주춤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부가 시장 안정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내면서 수요자들도 관망세에 접어든 상황으로 풀이됩니다.
두성규 목민경제정책연구소 대표, 김인만 부동산경제연구소 소장, 채상욱 커넥티드그라운드 대표 - 李, 대출규제는 '맛보기'…'집값불장' 잡힐까 - 6·27 부동산 대책으로 '집값불장' 잡힐까 - 서울 아파트값 9주 만에 상승 폭 축소 -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 0.
이제 시장의 관심은 자연스럽게 다음 수요억제책으로 쏠리고 있습니다.
서울을 중심으로집값이 들썩이는 가운데, 이재명 정부가집값안정화란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지금부터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그럼 함께 해주실 세 분 소개하겠습니다.
고공행진하던 강남권의 아파트 매수 심리도 약 두 달 만에.
두성규 목민경제정책연구소 대표, 김인만 부동산경제연구소 소장, 채상욱 커넥티드그라운드 대표 - 6.
27 대출 규제에 '벌벌'…"집값안정" VS "서민 부담" - 6년 전보다 강력해졌는데…'풍선효과' 재현? - 강남·마용성 '주춤'…영등포·양천·과천·성남 더 뛰어.
새 정부들어 사실상 첫집값대책을 내놨다.
주택정책 대신 돈 줄을 확 조여서집값을 잡는 방법을 택했다.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는 수도권집값을 잡기 위해 당장에 할 수 있는 가장 빠른 방법을 택한 것으로 풀이된다.
수도권과 규제지역 내에선 주택구입목적 주택.
ⓒ뉴시스 서울의 대표적인 외곽 지역인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일대집값이 꿈틀거리는 분위기다.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 용산구에 대한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 지정 여파와 대출 규제 등의 영향으로집값상승세가 노·도·강까지 번지고 있다.
시장에선 ‘규제지역 확대’를 가장 유력한 카드로 보고 있지만, 사실상 종합부동산세(종부세)를 높이게 돼 세금으로집값을 잡지 않겠다는 방침과는 엇박자가 날 수 있다는 반응도 나온다.
4일 부동산업계는 새 정부가 조만간 투기과열지구 신규 지정 등.
2억 원 이하 기준도 그대로 유지됩니다.
[정수호 / 국토교통부 주택기금과장 : 대출을 무분별하게 하는 그런 관행이 전셋값이나집값상승을 야기했다는 비판도 있었고 한정된 자금을 최대한 많은 분에게 공급하는 게 최우선 목표기 때문에….
그간 급등세를 주도하던 서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와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등 '한강벨트' 지역의집값상승폭이 소폭 축소됐다.
그러나 재건축 호재가 있는 경기 과천과 성남 분당 등은 여전히 기록적인 상승세를 보였다.
- 이전글회 본회의에서 강기정 광주시장 25.07.04
- 다음글말부터 서클에 대해 투자 의견을 25.07.0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